목록CS (88)
개발자꿈나무

점대점 방식과 멀티점 방식 점대점 방식 (point-to-point) - 물리적으로는 중개 장치를 통과하지 않고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직접하는 채널 - 논리적으로는 두 장비간의 통신 - 두 스테이션간을 별도의 회선을 이용하여 1 대 1로 연결 - 전용 회선이나 공중 전화 회선 사용 - 회선 구성이 간단하고 대용량 전송에 유리 - 별도의 회선과 포트에 따른 높은 설치 비용 멀티점 방식 (multipoint) = 멀티 드롭 방식 - 하나의 공유된 전송 회선에 여러 스테이션을 접속하는 방식 - 서로 통신하고자 하는 스테이션들을 어떻게 연결하는냐 하는 회선 구성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으며 토폴로지라고 부르기도 함 -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의 효과적인 연결에 널리 사용 -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양이 적을 때 효율..

TCP/IP -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 인터넷 프로토콜(IP) TCP/IP의 구조 OSI TCP/IP 기능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 응용 계층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제공 전송 계층 전송 계층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 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 경로 설정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계층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관련된 모든 것을 지원하는 계층 - 송신측 단말기는 인터넷 계층으로 전달받은 패킷에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 정보를 갖는 헤더를 추가하여 프레임을 만들어 전달 - 대표..

OSI 참조 모델 OSI 참조 모델 -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 - 하위 계층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물리적인 면과 패킷의 전달 등을 담당 - 전송 계층은 두 시스템 간의 연결을 확인하며 원격의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며, 하위 계층과 상위 계층을 연결하고 하위 계층이 전송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 - 상위 계층은 호스트 내부에서 처리되는 기능 계층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DU) - 응용, 표현, 세션 계층 : 메시지 - 전송 계층 : 세그먼트 - 네트워크 계층 : 패킷 -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 - 물리 계층 : 비트 * PDU : 네트워크 구조에서 정보를 실어 나르는 기본 단위 OSI 7계층 구조 물리..

전송속도 단위 BPS (Bit Per Second) : 신호속도 - 디지털 단위로 1초 동안에 전송된 비트수 보 (Baud) : 변조속도 - 아날로그 단위로 1초 동안에 전송된 주기(cycle)의 수 * BPS와 Baud의 관계 BPS = Baud * cycle 당 전송 비트수 위상 단위 전송 비트수 2위상 1비트 4위상 2비트(Dibit) 8위상 3비트(Tribit) 16위상 4비트(Quadbit) 더보기 Q. 80baud의 변조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1분 동안에 전송할 수 있는 full word의 수는? (단, 변조방식은 2위상 편이 변조) -> 80 * 1비트 * 60 (1분) / 4 (full word = 4byte) * 8 (1byte = 8bit) = 4800 / 32 = 150 데이터 ..

데이터 통신의 정의 - 컴퓨터에 의한 정보처리기술과 데이터 전송 기술이 통합된 형태 데이터 통신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처리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 DTE(Data Terminal Equipment) : 데이터 종단 장치 - 터미널, 컴퓨터 등을 총칭 - DCE(Data Circuit-End Equipment) :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 신호변환장치 단말장치 (Terminal) - 통신 회선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어 여러 가지 형식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 입/출력 기능과 전송 제어 기능이 있음 데이터 전송장치 신호변환장치 - 정보 기기에서 사용하는 부호를 전송로에 전송되는 신호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수신 측에서는 전송된 신호를 기기에 적합하도록 복원하는 장치 데..

★ 파일 파일 : 하드 디스크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관련 정보의 집합(관련 있고 의미 있는 정보를 모은 논리적 단위) 속성, 메타데이터 : 파일과 관련된 부가 정보 항목 (field) : 바이트의 모임으로 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며 의미있는 데이터의 가장 작은 단위 레코드 (record) : 고정 길이 또는 가변 길이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들은 몇 개가 모여 하나의 블록을 만듦 (파일을 구성하는 요소는 레코드이며, 레코드를 구성하는 요소는 항목) ⭐︎ 파일 속성 유형 : 운영체제가 인지하는 파일의 종류 크기 : 파일의 현재 크기와 허용 가능한 최대 크기 보호 : 어떤 사용자가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지 생성 날짜 : 파일이 생성된 날짜 마지막 접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