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술블로그 (19)
개발자꿈나무

SMTP를 이용해서 인증코드를 보내고 이메일 인증을 진행하는 기능을 구현해볼 것이다. Java의 JavaMailSender를 이용해서 메일을 보낼건데 그러기 위해서 디펜던시를 추가해줘야 한다. 메일 전송을 위한 기본 설정 //Mail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mail' 그래들에 디펜던시를 추가해주고 Google SMTP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Gmail에 들어가서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을 눌러주고 모든 설정 보기에 들어가준다. '전달 및 POP/IMAP' 탭에 들어가서 IMAP 사용으로 바꿔주고 저장해준다. 그다음 구글 계정으로 들어가서 '보안 > Google에 로그인하는 방법 > 2단계 인증'을 진행해준다. 안내에..
오늘 하루종일 뭘 했는지 잘 모르겠다.. ㅎ 삽질만 하루종일 하다가 겨우 저녁쯤 얼추 개념이 잡혀서 회원을 등록하고, 중복여부를 확인해서 테스트 코드를 짜는 데까지 완료했다. 제일 어려웠던건 아무래도 Spring DATA JPA를 적용하는 것이었다. 여러가지 레퍼런스들을 찾아보다 보니 오히려 더 머릿속이 복잡해지고 가닥도 제대로 잡히지 않고 우당탕탕 시간만 보냈던 것 같다. MemberDTO 생성 Restful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반적으로 Request와 Response용 DTO를 따로 만드는 것을 권장한다. 1. MemberRequest: 주로 POST 또는 PUT 요청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2. MemberResponse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

기본 게시판 스타일의 프로젝트를 하나 해볼까 하다가 예전 팀 프로젝트 당시 나왔었던 주제들 중 괜찮았던 주제가 있었어서 그걸 혼자 작게 구현해보기로 했다. 유기동물 입양과 커뮤니티 원래는 동물병원이나 동물 관련된 기관들의 위치 정보와 후기들을 공유하고 온라인으로 동물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얻을 수 있는 서비스 혹은 유기 동물에 대한 통계나 위치 정보를 얻어와서 병원과 연계해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서 논의를 했었는데, 이 두가지 주제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으면서 기본적인 기술을 보여줄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결심했다. 지도 API를 가지고 와서 유기견 보호소 정보들을 가지고 올 수 있으면 좋겠지만, 이는 버전업 때 해보도록 하고 일단 유기견을 입양하고, 입양 후의 이야기들을 나눌 수 ..

교육기관에서 제공해줬던 NCP 서버를 이용해서 배포를 진행했었는데 교육이 끝나고나니 가차없이 서버를 삭제하셨다..ㅠ 시연영상을 이용해서 지원을 하다가 재배포가 필요할 것 같아 이틀 동안 재배포를 진행했다. 이번에는 NCP이 아니라 AWS를 이용한 배포 방법도 익혀둘 필요가 있을 것 같아서 AWS를 이용해서 배포했다. 데이터베이스랑 S3 Storage는 NCP를 이용했고, Springboot와 Node.js는 AWS를 이용해서 진행했다. 내가 새로 판 서버는 Node를 실행시키기 위한 서버로 이를 중심으로 기록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우리는 aws의 Free Tier를 이용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했다. 프리 티어는 신규고객에게 가입한 날로부터 12개월 동안 무료로 제공하는 일부 서비스를 뜻한다. 다양한 서비스..
1월부터 5월까지 진행했던 교육과정이 종료됐다. 연달아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시험이 있어서 정신없이 공부하고, 숨을 좀 돌리고 나니 벌써 한 달 가까이 시간이 지났다. 먼저 프로젝트와 교육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자면 우선 나는 멀티캠퍼스 교육기관의 교육을 수료했다. 혹시 같은 교육과정을 들었던 교육생들이 이 글을 볼지도 모르겠다 ㅎㅎ.. 국비 교육이고 심지어 비대면 교육인지라 걱정을 많이 했지만 어딜가든 나만 잘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시작했고, 많은 것을 얻었다. 강사님도 너무 좋으신 분이셨고, 아직까지도 종종 연락드리면서 피드백을 받고있는 중이다. 이번 교육과정 동안 전문적인 지식도 많이 얻었지만 제일 크게 얻은건 아무래도 사람인 것 같다. 거의 대부분이 프로젝트 경험이 없었던 팀원들끼리 으쌰으쌰하면서 한번..
프로젝트 틈틈이 기록을 해두려고 했는데 5주라는 기간이 생각보다 길지 않았고, 또 프로젝트라는 걸 처음 해보다보니 그 외에 다른 곳에 신경을 쓸 여유가 없었던 것 같다. 현재까지 4주 진행이 됐고, 실질적으로 풀로 쉬었던 날은 한번도 없었던 것 같다. 지금 기본적인 기능 개발을 끝내고, 좀 더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성능 테스트와 트랜젝션을 진행하려는 단계인데 그동안 겪었던 어려웠던 부분들이랑 해결해나갔던 방법들을 위주로 기억을 되새겨 보려고 한다. 먼저 우리의 프로젝트 주제는 관심 뉴스를 통해 배우는 화상 영어 채팅 서비스이다. 주제 선정부터 쉽지 않았는데 처음에는 동물과 관련된 커뮤니티를 가미한 동물병원 정보 시스템을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생각보다 비슷한 주제를 생각한 팀들이 많았고 참신하지 않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