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꿈나무

화이트박스 & 블랙박스 테스트 본문

CS/소프트웨어공학

화이트박스 & 블랙박스 테스트

망재이 2024. 1. 5. 17:01
  • 화이트박스 테스트
    - 설계된 절차에 초점을 둔 구조적 테스트로 프로시저 설계의 제어 구조를 사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며, 테스트 과정의 초기에 적용
    - 모듈 안의 작동을 직접 관찰
    - 원시 코드의 모든 문장을 한 번 이상 실행함으로써 수행
    - 프로그램의 제어 구조에 따라 선택, 반복 등의 분기점 부분들을 수행함으로써 논리적 경로를 제어

  • 화이트박스 테스트 종류
기초 경로 검사 (Base Path Testing) - 대표적인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
- 테스트 케이스 설계자가 절차적 설계의 논리적 복잡성을 측정할 수 있게 해주는 테스트 기법
- 테스트 측정 결과는 실행 경로의 기초를 정의하는 데 지침으로 사용
제어 구조 검사 (Control Structure Testing) - 조건 검사 (Condition Testing) : 프로그램 모듈 내에 있는 논리적 조건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 루프 검사 (Loop Testing) : 프로그램의 반복 구조 (단순 루프, 중첩 루프, 연결 루프, 비구조적 루프)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 데이터 흐름 검사 (Data Flow Testing) : 프로그램에서 변수의 정의와 변수 사용의 위치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 기초 경로 : 수행 가능한 모든 경로

  •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검증 기준
    - 테스트 케이스들이 테스트에 얼마나 적장한지를 판단하는 기준
문장 검증 기준 (State Coverage) 소스 코드의 모든 구문이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 설계
분기 검증 기준 (Branch Coverage) =
결정 검증 기준 (Decision Coverage)
소스 코드의 모든 조건문에 대해 조건이 True인 경우와 False인 경우가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 설계
조건 검증 기준 (Condition Coverage) 소스 코드의 조건문에 포함된 개별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인 경우와 False인 경우가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 설계
분기 / 조건 기준 (Branch / Condition Coverage) 분기 검증 기준과 조건 검증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설계로, 조건문이 True인 경우와 False인 경우에 따라 조건 검증 기준의 입력 데이터를 구분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 블랙박스 테스트 (기능 테스트)
    - 사용자의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테스트하는 것으로, 주로 구현된 기능을 테스트
    -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서 실시되는 테스트
    - 부정확하거나 누락된 기능, 인터페이스 오류, 행위나 성능 오류 등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되며, 테스트 과정의 후반부에 적용

  • 블랙박스 테스트 종류
동치 분할 검사 (Equivalence Partitioning Testing) =
동치 클래스 분해 = 동등 분할 기법
- 입력 자료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 케이스 (동치 클래스)를 만들고 검사하는 방법
- 프로그램의 입력 조건에 타당한 입력 자료와 타당하지 않은 입력 자료의 개수를 균등하게 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정하고, 해당 입력 자료에 맞는 결과가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기법
경계값 분석 (Boundary Value Analysis) - 입력 자료에만 치중한 동치 분할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기법
- 입력 조건의 중간값보다 경계값에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입력 조건의 경계값을 테스트 케이스로 선정하여 검사하는 방법
원인-효과 그래프 검사 (Cause-Effect Graphing Testing) -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와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다음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를 선정하여 검사하는 방법
오류 예측 검사 (Error Guessing) =
데이터 확인 검사
- 과거의 경험이나 확인자의 감각으로 테스트하는 기법
- 다른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으로는 찾아낼 수 없는 오류를 찾아내는 일련의 보충적 검사 기법
비교 검사 (Comparison Testing) -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동일한 테스트 자료를 제공하여 동일한 결과가 출력되는지 테스트하는 기법

 

더보기

Q. 화이트박스 테스트와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이해를 위해 논리흐름도(Logic-Flow Diagram)를 이용할 수 있다.

2.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해 실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오류를 찾는 동적 테스트(Dynamic Test)에 해당한다.

3. 프로그램의 구조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 케이스는 프로그램 또는 모듈의 요구나 명세를 기초로 결정한다.

4. 테스트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하여 검증기준(Test Coverage)을 정한다.

 

->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정적 분석뿐만 아니라 동적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정적 분석에서는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검토하여 문제점을 찾지만, 동적 분석에서는 실제로 코드를 실행시켜 테스트를 진행한다.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경우, 프로그램의 내부 구조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로직 흐름도를 이용하여 로직 검증을 할 수 있고, 동적 테스트를 통해 실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동작을 검증할 수도 있다.

3번 "프로그램의 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때때로 테스트 케이스는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모듈의 우연한 면을 기준으로 결정한다"는 주장은 화이트박스 테스트에 부합하지 않는다.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프로그램의 내부 구조에 기반하여 체계적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기 때문에 우연한 면을 기준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지 않습니다.

728x90

'CS > 소프트웨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함 관리  (0) 2024.01.07
통합 테스트  (2) 2024.01.07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분류  (0) 2024.01.03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개념 및 기본 원리  (2) 2024.01.03
개발 지원 도구  (2) 2024.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