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꿈나무

10진 연산 - 팩, 언팩 본문

CS/전자계산기구조론

10진 연산 - 팩, 언팩

망재이 2024. 2. 6. 13:43
10진 연산

 

  • 언팩(Unpacked) 연산
    - 존(zone) 4비트 + 숫자(digit) 4비트를 사용하여 10진수 한 자리를 한 바이트로 표현
    - 최하위 바이트의 존 부분을 부호로 사용하여 양수면 16진수 C(1100), 음수면 16진수 D(1101)을 사용
    - 입출력 데이터로 사용하고 연산용 데이터롤 사용할 수 없음
    - 부호가 없는 숫자는 존 부분에 16진수 F(1111) 사용

  • 팩(Packed) 연산
    - 10진수 한 자리를 숫자(digit) 4비트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1바이트에 2개의 숫자를 표현
    - 최하위 바이트의 4bit를 부호로 사용하며 양수면 16진수 C(1100), 음수면 16진수 D(1101)을 사용
    - 연산용 데이터로 사용하고 입출력 데이터로 사용할 수 없음
더보기

Q. 10진수 -456을 PACK 형식으로 표현한 것은?

1. [45][6D]

2. [-4][56]

3. [45][6F]

4. [F4][56]

 

-> 팩 연산이므로 1바이트에 숫자 2개를 표현한다. 따라서 첫번째 바이트에는 45를 표현, 두번째 바이트에 6을 표현하고 남은 4bit는 부호를 나타낸다. 현재 음수를 나타내야 하므로 16진수 D의 값을 넣어 [45][6D]로 표현한다.

 

* 만약 언팩 연산을 이용한다면 한 바이트에 존(16진수)와 숫자를 표현하는데 4, 5의 값에는 부호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16진수 F를 사용한다. 마지막 6의 숫자를 표현할 때 음수를 나타내는 D를 함께 사용해주면 된다. [F4][F5][D6]

728x90

'CS > 전자계산기구조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렬처리  (2) 2024.01.25
입출력장치  (0) 2024.01.24
기억장치 - 가상메모리, RAID  (3) 2024.01.24
기억장치 - 캐시 메모리  (0) 2024.01.23
기억장치 - 주기억장치  (2)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