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소프트웨어공학
엣지 컴퓨팅 (Edge Computing)
망재이
2024. 3. 2. 10:19
엣지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인터넷이 아닌 로컬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IoT 등)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
예를 들어 전력 계량기 관련 IoT 기술을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가정마다 계량기를 설치하게 되면 수십 만 대의 장치가 설치될 것!
또한 각 장치별로 분당 여러 번의 데이터 전송을 하게 될 때 중앙 집중형 컴퓨팅을 사용하게 되면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 중간에서 기본적인 컴퓨팅을 처리해줄 수 있는 게이트웨이가 필요 -> 이러한 게이터웨이 역할을 해주는 것이 엣지 컴퓨팅!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엣지 컴퓨팅 기본적 구성
- 클라우드 레이어
- 중앙 서버의 역할을 하며, 엣지 게이트웨이와 연결
- 디바이스 레이어와 직접 연결하지 않으며 엣지 레이어를 통해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 - 엣지 레이어
- 분산된 중간 서버의 역학을 하며, 디바이스 레이어와 물리적으로 근처에 위치
- 실제 중앙 서버와 통신이 필요없는 경우는 디바이스 요청을 직접 처리하여 지연 시간을 줄여줌 - 디바이스 레이어
- 엔드 포인트이며, 엣지 레이어와 통신
엣지 컴퓨팅 장점
- 지연 시간 감소
- 물리적으로 근처에 있는 엣지 레이어에서 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지연 시간 감소 -> 자율주행처럼 실시간 처리가 필요한 경우 유용 - 네트워크 트래픽 개선
-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레이어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엣지 레이어에서 정제하여 보내기 때문에 보내지는 데이터 양을 줄일 수 있음 - 성능 향상
-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는 방대하므로, 이를 엣지 레이어에서 처리해주기 때문에 클라우드 레이어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안정성 향상
- 중간에 엣지 레이어에서 처리를 해주기 때문에 클라우드 레이어와 연결이 끊어져도 처리를 할 수 있고, 처리된 정보가 엣지 레이어에도 저장이 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손실도 방지 - 보안
- 엣지 레이어에서 1차 데이터 처리를 하고 필요 정보다 클라우드 레이어에 전송하기에, 구성이 잘 된다면 보안이 강화될 수 있음
엣지 컴퓨팅 고려사항
- 클라우드 레이어와 엣지 레이어의 기능 분배
- 엣지 레이어의 경우는 특정 목적과 정해진 리소스를 통해 측정 기능만을 제공해야 하므로, 클라우드 레이어를 그대로 엣지 레이에어 복사해두는 것은 불필요함 -> 이러한 기능 분배를 적절히 취해줘야 함 - 보안
- 디바이스 레이어에 해당하는 IoT 디바이는 안전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적절한 장치 관리 및 리소스 보안을 고려해서 엣지 컴퓨팅을 설계해야함 - 데이터 라이프사이클
- 꼭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임에도 저장되거나 유지되는 경우가 많음 -> 특히 자율주행처럼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할 때 불필요한 데이터들까지 전부 저장될 수 있음
- 따라서 데이터 라이프사이클을 적절히 관리하고 유지할 데이터와 폐기할 데이터를 적절히 관리해야 함
더보기
Q.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용어는 무엇인가?
[ - 사용자 또는 데이터 소스의 물리적인 위치나 그 근처에서 컴퓨팅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
[ - 기업이 여러 위치에서 공통의 리소스 풀을 사용하여 데이터 연산 및 처리를 분산시키는 방법 이다. ]
[ - 처리 가능한 대용량 데이터를 발생지(소스) 주변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시간이 큰 폭으로 단축되고 인터넷 대역폭 사용량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
-> 엣지 컴퓨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