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자 공부 (221)
개발자꿈나무

데이터 통신의 정의 - 컴퓨터에 의한 정보처리기술과 데이터 전송 기술이 통합된 형태 데이터 통신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처리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 DTE(Data Terminal Equipment) : 데이터 종단 장치 - 터미널, 컴퓨터 등을 총칭 - DCE(Data Circuit-End Equipment) :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 신호변환장치 단말장치 (Terminal) - 통신 회선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어 여러 가지 형식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 입/출력 기능과 전송 제어 기능이 있음 데이터 전송장치 신호변환장치 - 정보 기기에서 사용하는 부호를 전송로에 전송되는 신호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수신 측에서는 전송된 신호를 기기에 적합하도록 복원하는 장치 데..

★ 파일 파일 : 하드 디스크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관련 정보의 집합(관련 있고 의미 있는 정보를 모은 논리적 단위) 속성, 메타데이터 : 파일과 관련된 부가 정보 항목 (field) : 바이트의 모임으로 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며 의미있는 데이터의 가장 작은 단위 레코드 (record) : 고정 길이 또는 가변 길이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들은 몇 개가 모여 하나의 블록을 만듦 (파일을 구성하는 요소는 레코드이며, 레코드를 구성하는 요소는 항목) ⭐︎ 파일 속성 유형 : 운영체제가 인지하는 파일의 종류 크기 : 파일의 현재 크기와 허용 가능한 최대 크기 보호 : 어떤 사용자가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지 생성 날짜 : 파일이 생성된 날짜 마지막 접근 ..

탐색시간(Seek Time) 최적화 기법 - 트랙을 찾는 데 걸리는 시간 FCFS(First Come First Service) 스케줄링 - 가장 간단한 형태로, 먼저 도착한 요청이 우선적으로 서비스 받음 - 근본적인 공평성이 보장되고 프로그래밍이 편리 - 헤드 이동거리에 비해 전체적인 처리율이 낮음 - 현재 헤드의 위치가 트랙 50에 있고 대기큐에 105, 180, 40, 120, 10, 125, 65, 70의 순서로 트랙을 요청한다고 할 때 SSTF(Shortest Seek Time First) 스케줄링 - 탐색거리가 가장 짧은 요청이 먼저 서비스를 받는 기법으로 현재 헤드 위치에서 최소의 탐색시간을 요하는 디스크 요청을 먼저 처리 - 안쪽이나 바깥쪽의 트랙이 가운데 있는 트랙보다 훨씬 서비스를 덜 ..

★ 스와핑 현재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임시로 보조기억장치 일부 영역으로 쫓아내고, 생긴 메모리 공간에 또 다른 프로세스를 적재하여 실행하는 방식 스와핑을 이용하면 프로세스들이 요구하는 메모리 주소 공간의 크기가 실제 메모리 크기보다 큰 경우에도 프로세스들을 동시 실행할 수 있음 ⭐︎ 스왑 영역 : 프로세스들이 쫓겨나는 보조기억장치의 일부 영역 ⭐︎ 스왑 아웃 : 현재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가 메모리에서 스왑 영역으로 옮겨지는 것 ⭐︎ 스왑 인 : 스왑 영역에 있던 프로세스가 다시 메모리로 옮겨오는 것 ★ 메모리 할당 ⭐︎ 최초 적합(first fit) : 메모리 내의 빈 공간을 순서대로 검색하다가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발견하면 즉시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방식 -> 검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빠른 할당이..

메모리 관리 정책 반입 (Fetch) 정책 - 페이지를 메인메모리로 가져올 시기를 결정하는 정책 - 요구 반입 :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의해 어떤 프로그램이나 자료가 참조될 때 그것을 주기억장치로 옮김 - 예상 반입 : 현 프로그램 수행 중에 앞으로 요구될 가능성이 큰 자료 또는 프로그램을 예상하여 주기억장치로 미리 옮김 배치 (Placement) 정책 - 새로 반입될 자료나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가는 결정하는 정책 - 최초 적합 (First Fit) : 사용 가능 공간 리스트에서 충분히 큰 첫 번째 공백 분할 공간에 할당하는 방법으로 속도가 빠를 수 있지만 공간 활용률은 떨어짐 - 최적 적합 (Best Fit) : 충분히 큰 사용 가능 공간 중 가장 작은 크기의 사용 공간을 할당하며..

★ 프로세스 우선순위 우선순위 :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란 빨리 처리해야 하는 프로세스 대표적으로 입출력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가 있음 대부분 프로세스들은 CPU와 입출력장치를 모두 사용하므로 실행 대기 실행 대기 상태를 반복하며 실행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I/O bound process) : 입출력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 실행 상태보다는 입출력을 위한 대기 상태에 더 많이 머무름 CPU 집중 프로세스(CPU bound process) : CPU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 대기 상태보다는 실행 상태에 더 많이 머무름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와 CPU 집중 프로세스가 동시에 CPU 자원을 요구한다면, 대기 상태가 더 많은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를 빨리 실행시키고, 입출력 작업을 완료하기 전까지 CPU 집중 프로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