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소프트웨어공학 (34)
개발자꿈나무

엣지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인터넷이 아닌 로컬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IoT 등)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 예를 들어 전력 계량기 관련 IoT 기술을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가정마다 계량기를 설치하게 되면 수십 만 대의 장치가 설치될 것! 또한 각 장치별로 분당 여러 번의 데이터 전송을 하게 될 때 중앙 집중형 컴퓨팅을 사용하게 되면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 중간에서 기본적인 컴퓨팅을 처리해줄 수 있는 게이트웨이가 필요 -> 이러한 게이터웨이 역할을 해주는 것이 엣지 컴퓨팅!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엣지 컴퓨팅 기본적 구성 클라우드 레이어 - 중앙 서버의 역할을 하며, 엣지 게이트웨이와 연결 - 디바이스 레이어와 직접 연결하지 않으며 엣지 레이어를 통해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

테스트 레벨 - 소프트웨어의 개발 단계에 따라 분류되는 테스트 단계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는 소프트웨어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테스트를 수행하므로 단순히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코드 상의 오류뿐만 아니라 요구 분석의 오류, 설계 인터페이스 오류 등도 발견할 수 있음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와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를 연결하여 표현한 것을 V-모델이라 함 단위 테스트 (Unit Test) - 코딩 직후 소프트웨어 설계의 최소 단위인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하는 것 - 인터페이스, 외부적 I/O, 자료 구조, 독립적 기초 경로, 오류 처리 경로, 경계 조건 등을 검사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테스트를 최우선으로 수행 - 주로 구조 기반 테스트를 이용하여 테스트 수행 - 발견 가능한 오류..
일괄처리 시스템 (Barch Processing System) - 입력되는 자료를 일정기간 또는 일정량을 모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 - CPU와 I/O장치의 속도차이 때문에 CPU의 유휴시간이 많이 발생 CPU 1개 - 주기억장치 1개 - 프로그램 1개 - 사용자 1명 다중프로그래밍 시스템 (Multi-Programming System) - CPU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 - 하나의 CPU로 여러 개의 사용자 프로그램이 마치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처리하는 방식 - 한 사용자 프로그램이 CPU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안, 다른 사용자 프로그램이 그 시간에 CPU를 사용하여 효율을 극대화시킴 CPU 1개 - 주기억장치 1개 - 프로그램 n개 - 사용자 1명 실시간 시스템 (Real Time ..
지능형 초연결망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새로운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시행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의 정부 주관 사업 - 국가 전체 망에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DE)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5G 등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함 - 기존의 초고속정보통신망, 광대역통합망, 광대역융합망을 잇는 중장기 네트워크 발전 전략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 (SDE, SDx; Software-Defined Everything) -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등에서 소유한 자원을 가상화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기술 관련 용어 용어 의미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SDN; Software Defin..
빅데이터 -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 - 스마트 단말의 빠른 확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사물 네트워크의 확대로 데이터 폭발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음 빅데이터 3V 정의 특징 - 데이터 분량(Volume), 데이터의 변화 속도(Velocity), 데이터의 다양성(Variety) 빅데이터 처리 기술 - 데이터 수집, 저장, 분석, 시각화의 4가지 과정을 거침 빅데이터 데이터 구분의 기준 - 우선적으로 형태가 있는지 없는지 스키마 형태의 유무를 판단하고, 연산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구분 ▶︎ 정형화(structured)된 데이터 - 일정한 규칙을 갖고 체계적으로 정리된 데이터로 형태가 있고 연산이 가능 - 통계자료, 과학적 데이..
고가용성 (HA; High Availability) - 긴 시간동안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장애 발생 시 즉시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메커니즘 - 가용성을 극대화하는 방법 : 클러스터, 이중화 등 * 클러스터 : 두 대 이상의 서버를 하나의 서버처럼 운영하는 기술, 서버 이중화 및 공유 스토리지를 사용하여 서버의 고가용성을 제공 * 이중화 : 시스템 오류로 인한 서비스 중단이나 물리적 손상 발생 시 이를 복구하기 위해 동일한 시스템을 복제하여 관리하는 것 고가용성 솔루션 (HACMP) - 각 시스템 간의 공유 디스크를 중심으로 클러스터링으로 엮어 다수의 시스템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음 - 조직, 기업의 기간 업무 서버 등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 - 여러 가지 방..